국제개발협력 분야 개인적 공부를 위해 정리 해 놓은 게시물입니다.
(무단 배포 X)
#1
1. 들어가며
- 빈곤은 복잡다단한 사회문제 - 질병, 재난, 재해, 환경파괴를 일으키는 주요 원인이자 그 결과.
- '보이지 않는 집단'으로 불리는 빈곤층 - 자신의 이해를 대변할 수 있는 정치참여가 부족하여 정책결정 과정에서 소외되기 쉬움.
2. 빈곤의 이해
(1) 빈곤의 개념화 : (차원, 일반화, 지속성) 분석틀 사용
- 차원(dimension)
- 차원이라는 측면에서 빈곤은 기본적으로 경제적 측면, 즉 물질적인 결핍으로 이해
- 빈곤의 차원이 확장되어 최근에는 사회. 정치적 차원을 포함하고자 함.
- 일반화
- 공간과 주체를 넘어 일반화될 수 있는지에 따라서 다르게 정의.
- 일률적으로 정해진 기준선에 의해 발생하는 보편적, 객과적, 절대적인 현상으로 볼 수도 있다.
- 빈곤을 정의하는 주체나 부와 소득의 분배에 따라 달라지는 주관적이고 상대적인 현상이기도 하다.
- 지속성
- 고정적 관점 : 빈곤은 시간에 관계없이 변함없는 상태로 인식 ex) 만성적 빈곤층
- 역동적 관점 : 빈곤을 생애주기 혹은 일시적 질병, 자연재해로 겪는 과도기적인 것으로 인식.
(2) 빈곤에 대한 접근법 : MDGs와 SDGs 반영된 금전 중심/ 역량중심 접근법 ( '차원'측면에서는 다르지만 나머지 두 측면은 동일 )
1) 금전 중심 접근법
- 금전적 소비가 효용을 적절히 반영하며, 효용은 다시 복지와 안녕(well-being)을 대표하는 지표라고 인식
- 경제적 차원의 접근
- 라운트리 : 영양섭취, 의복, 주거에 필요한 금액을 측정하여 빈곤선 수립 ( 이 접근의 타당성은 빈곤층을 구분하는 특정한 빈곤선을 어떻게 정당화하는가에 달려있다.)
2) 역량 중심 접근법
- 다차원적 접근법
- 빈곤을 자원을 획득하고 이를 자신의 복지와 안녕을 위해 활용하는 기본적인 역량이 결핍된 상태
- 센 '자유로서의 발전'에 영향을 받음 ( 복지는 자신이 영위하고 싶은 삶을 살 수 있는 자유/ 물질적 자원은 도구 )
- 인간 삶의 성취나 역량을 규정하는 특징과 요소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지가 중요 이슈
(3) 국제기구에서 인식하는 빈곤
- UN : 선택과 기회의 박탈 / 사회에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본적 능력의 제약
- 세계은행 : 명백히 복지가 박탈된 상태
- OECD : 박탈(Deprivation)의 여러 차원을 포함한다. / 여러 차원의 안녕과 복지를 달성하는 능력의 제약
3. 국제 빈곤 분석
(1) 빈곤 측정
1) 물질적 차원의 측정 : 소득, 소비에 의한 빈곤선을 기준으로 빈곤을 측정하는 방법
① 복지지표 선정 : 빈곤 측정의 첫 단계 - 대상 인구의 복지를 대표하는 지표 선정
- 개인적 차원의 복지를 대표하는 단일 지표 Y ( 주로 1인당 소득, 1인당 지출 사용됨 혹은 최소한의 식료품비)
- 소비. 지출 지표가 더 많이 사용됨.
- 지출을 통해 창출되는 효용이 복지의 개념과 더 가깝기 때문. ( 소득은 연간 변동이 심함, 소득원이 다양하여 측정하는데 어려움이 따름, 개도국에서는 노동소득이 비공식 부문에서 창출된다는 단점 )
- 소비지출 한계 : 개인보다 가구단위의 소비지출 정보가 존재, 조사대상 기억에 의존, 개인별 복지 수준 비교 어려움, 내구재에 대한 지출을 측정하기 어렵다.
- 가격 조정된 실지 출 계산, 실질 구매력(ppp) 환율, 특정지역에 특화된 소비자 가격지수 사용
실질구매력 : 국가별로 다른 현지 통화단위를, 상대적인 복지를 반영하는 공통 통화로 변환. |
* PPPe - 미국에서 1달러로 살 수 있는 재화, 서비스를 구매하기 위한 현지통화. * 미국보다 소득이 낮은 개도국에서는 같은 재화와 서비스라고 해도 가격이 낮으므로, |
② 빈곤선의 선정 : 빈곤층을 구분하는 빈곤선 선택
- 빈곤선 설정에 따라 상대적이며, 어떤 빈곤선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빈곤의 정도가 달라진다.
- 다양한 대안들을 같이 비교 분석 // 빈곤선 변화에 따른 민감도 분석해보는 것도 유용
- 국내 빈곤선 : 개도국에서 국내 빈곤선은 '개인에게 필요한 최소한의 영양, 의복, 쉼터와 관련된 욕구를 충족할 수 없는 선을 반영'
- 국제 빈곤선 : 저소득 국가들의 국내 빈곤선을 실질구매력 환율을 활용하여 공통통화로 변환한 국제 빈곤선이 만들어짐. ( 절대빈곤선 : 2015년부터 하루 1.90달러(2011년 실질구매력 기준) 미만)
③ 빈곤지수 : 빈곤 정도를 종합적으로 보여준다.
- 다양한 빈곤지수가 있지만, 가장 널리 쓰이는 FGT 계열의 지수
- n= 인구수, z= 빈곤선, yi= 각 개인(i)의 소득, q= 빈곤인구수
매개변수 알파(a)값에 따라 3가지 세부지표로 나뉜다. | ||
빈곤율 : 빈곤선 이하의 인구비율을 측정하는 지표 | 빈곤격차 : 빈곤선에 대한 각 개인(가구)의 빈곤격차 비율의 평균값 측정 | 빈곤불평등 : 빈곤선에 대한 빈곤격차의 비율을 제곱한 값의평균 |
측정하기 쉽지만, 빈곤의 정도에 대한 정보를 알려주지 않는다. | 빈곤한 개개인 간의 불평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지 않는다. | 빈곤층의 소득.소비분배에 민감한 지표 |
센이 제시한 '단조성'과 '이전' 명제 충족못함 | '단조성'과 '이전' 명제 충족 | 1.'단조성'과 '이전' 명제 충족 2. 빈곤한 개인 간의 불평등 측정 |
- 단조성(Monotonicity) : 빈곤층의 소득이 낮아지면 빈곤 수준이 높아져야 한다
- 이전(Transfer) : 더 빈곤한 층의 소득이 낮아지는 대신 덜 빈곤한 층의 소득이 높아졌다면 빈곤의 수준이 높아져야 한다.
2) 다차원적 측정
- 특징 : 경제적 측면과 빈곤의 다른 측면을 포함한 혼합 지표를 사용
- 다차원 지표들은 인간의 기본 욕구를 측정하고자 한다.
- 사전 :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원천에 접근이 가능한지
- 사후 : 욕구가 성취되었는지
- 인간개발지수 : 개별 가구 차원이 아니라 국가 전체에 대한 지수
- 절대적 기준선이 없는 상대적 지표이다.
- UNDP는 '인간개발 보고서'를 통해 HDI에 따른 국가별 순위를 발표
- 다차원적 빈곤지수 (MPI)
- 알키르-포스터 방법 : 한 개인이 동시다발적으로 겪고 있는 박탈을 빈곤지수 화한다.
- 3가지 측면 ( 건강, 교육, 삶의 수준 )으로 나누고, 다시 10개 요소로 세분화하였다.
- 각각은 동일한 가중치를 갖는다.
- '생활수준'측면을 1인당 소득으로만 활용한 인간개발지수 (HDI)와 달리 공공재 접근성에 대한 정보를 준다.
- 최소 30%의 지표에서 기준치 이하이면 빈곤가구.
국민소득에 집중하던 인간복지의 측정을 역량적 관점으로 전환시키는 의미가 있음.
2020/10/31 - [Study/ODA 자격증] - 국제개발협력 심화 - 제8장 빈곤 (중)
국제개발협력 심화 - 제 8장 빈곤 (중)
국제개발협력 분야 개인적 공부를 위해 정리 해 놓은 게시물 입니다. 자료 따로 필요하신분은 댓글 달아주세요. #2 (2) 빈곤 개요 1) 인구 하부 그룹별 분류 - 인구통계적, 경제적, 사회적 면에서
vastpotential.tistory.com
'STUDY > ODA 정리자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국제개발협력 입문편 - 국제개발협력의 역사 (2장) (21) | 2020.11.01 |
---|---|
국제개발협력 심화 - 제 8장 빈곤 (하) (2) | 2020.10.31 |
국제개발협력 심화 - 제 8장 빈곤 (중) (0) | 2020.10.31 |
국제개발협력 심화 - 제 1장 교육 (하) (15) | 2020.10.30 |
국제개발협력 심화 - 제 1장 교육 (상) (26) | 2020.10.30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