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STUDY/ODA 정리자료

국제개발협력 심화 - 제 1장 교육 (상)

반응형

ODA 자격증 대비 공부를 위한 개인적인 정리 내용입니다.( 무단 배포 X )

 

#1


 

1. 교육의 중요성

 

(1) 교육의 의미

: 경험주의에 바탕을 둠_인간은 백지상태(로크의 견해, 성무 선악설과 상통)

: 교육활동은 의도성, 목적성/ 무의도적 변화도 지향(넓은 의미)

: 1948년 UN총회 '세계인권선언' - 교육은 그 자체가 인간의 보편적 기본 권리

 

- 교육 분류  :  형식적 교육, 비형식적 교육, 무형식적 교육

 

형식적  교육  =  학교 교육 / 일정한 틀과 목표를 가지고 교사가 학생을 대상으로.

비형식적 교육 = 학원, 평생교육원, 문화센터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학습 대상자의 학습요구에 부응하여 제공되는 조직적, 체계적인 교육활동.

무형식적 교육 = 일상생활(가정, 직장, 독서, 여행 등) 경험에서 지식, 기술 습득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학습자 스스로 선택.

 

< 일반교육  vs  직업기술훈련 >

공통점 : 의도한 행동 변화를 지향

차이점 : 일반교육 – 가치 지향적 활동, 전인적인 변화와 지적이고 창의적인 변화 도모.

               직업기술훈련 – 가치중립적 활동, 인간 특성이 제한된 특수기술 연마, 일부 변화 등.

 

(2) 교육의 파급효과 : 구성원의 공평한 분배에 기여

  경제적 측면 : 경제발전 촉진 및 지속가능한 성장 견인

  정치적 측면 : 문해율 증가에 따라 투표 참여율 증가 : 민주화 실현에 기여

  사회적 측면 : 높아진 교육 참여율, 학력은 유아 사망률 감소, 출산율 감소, 양성평등에 기여

 

그 외 : 비문해자 감소 – 국가통합에 기여.

            기술변화에 신속히 적응,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치하여 농업 생산성 증진 효과.

            여성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출산율(birth rate)이 낮아지며 인구 증가 억제.
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(절대 인구수의 감소로 1인당 국민소득(GNI)을 높일 수 있다.)

 

(3) 교육과 국가발전의 관계

 

- 교육은 경제성장에 긍정적으로 작용. (농산물 생산, 노동 생산성 증가 등)

   교육은 빈곤감소 및 소득분배 개선에 기여.

 

- 실제 소득은 초등교육 졸업자나 중등교육 졸업자나 큰 차이가 없다고 볼 수 있다.

  BUT, 고등교육까지 투입되는 교육비용은 초중등교육과정과 비교해서 50% 이상 추가되지만,

 장기적으로 더 많은 소득을 올릴 수 있기 때문에, 교육투자 수익률이 높다는 분석이 있다.

- 교육에 의한 농업생산성 향상 효과는 소작농보다는 자작농에게서 더 기대할 수 있다.

- 점차 낮아지는 교육투자 수익률 ( 교육 이수자 증가로 취업경쟁 심화, 자영업 운영환경 변화 )

< 교육과 경제성장 상관관계 연구 결과 >
  1. 고소득국가보다 중저소득국에서 교육의 수익률이 높다.
  2. 교육수준별로는 초등교육의 수익률이 가장 높다. ( 고등교육 > 중등교육 순으로 수익률이 낮아짐 )
  3. 여성이 남성보다 수익률이 높다.

2. 세계 교육현황

(1) 전 세계 교육 불평등 현황

-  1990년, 국제연합교육과학문화기구(UNESCO)태국 좀티엔   '모두을 위한 교육'(Education For All,  EFA) 선언

    2000년, 세네갈 다카르 선언 

    2015년, 인천 선언

 

- UNESCO가 발간한 2015년 세계 현황 보고서(Global Monitoring Report, GMR)에 따르면,

   1999년 기준으로 초중등학교 학령기 청소년의 19%가 학교에 등록하지 못했으나, 2012년에는 12%로 감소

 

(2) 개도국 교육환경 및 현황

1) 유아교육 및 보육

- 전 세계적으로 유아교육 등록률이 낮은 이유  :  유아교육 자체가 형식적, 보편적 교육에 포함되지 않는다.

   개도국 유아교육은 사립유치원을 통해 이루어짐. (비싸서 빈 곤츠 자녀는 등록이 어려움)

 

2) 초등교육

- 전 세계 초등학교 등록률의 큰 상승 이유

   EFA뿐만 아니라 MDGs에서도 초등교육 등록률 증가를 세계 공동의 목표로 수립하여 중점 지원했기 때문.

 

-  질적인 부문은 해결해야 할 과제 (과밀화 학급 운영, 낮은 학업 성취도, 낮은 교사 역량 등)

-  개선되지 않은 최종학년 잔존율( 중퇴율이 높을수록 교육효과는 반감 )

 

3) 중등교육 (청소년 및 성인의 학습 욕구 충족)

- 사하라 이남지역은 중고등학교 진학률(형식적 교육)이 낮음.

- 직업교육훈련(비형식적 교육) 중요 : 해외투자업체가 요청하는 기술인력 양성, 공급 - 거시적으로 국가 경제발전에 중요한 원동력

- 개도국 중학교 졸업자가 저조한 이유 :  빈곤과 노동시장에서 중학교 등록생들의 수요가 존재하기 때문.

 

4) 성인의 문해 능력

- 성인을 대상으로 한 문해교육은 큰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는 이유 : Enabling environment

(Kenneath King 교수 "교육이 실제적으로 경제적 파급효과를 산출하기 위해서는 습득한 지식과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이 구축되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기 때문이다")

 

즉, 국가별로 문해율과 경제성장률이 꼭 정비례하지 않는 현상은 enabling environment 정도가 다르기 때문.

 

5) 교육에서의 성별 격차

- 전 세계 초중등교육기관 등록생의 성별 격차는 과거보다 크게 개선되었다.

 

6) 교육의 질

- 교육의 질적인 측면에서는 여전히 개선해야 할 부분이 많다.

- 중학교 교사 대 학생 비율은 전반적으로 초등학교와 비교해 개선된 수치 ( 중등학교로의 진학률이 낮아서)

- 사하라 이남 국가의 아프리카 학생들은 초등교육과정에서 수리 기초지식을 습득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.

   (학생들의 적적한 학습을 유도하는 개도국의 미흡한 교육과정)

- 교사 양성이 원활히 이뤄지지 않고 있다.

 

(3) 개도국 교육개발 과제와 개선 방향

 

 

3. 교육 분야 구개협 동향

 

(1) 모두를 위한 교육(Education For All, EFA)

- 1990년, 태국 좀티엔 회의에서 선언. - 전 세계 문맹퇴치와 초등교육 보편화. 

-  EFA는 UNESCO가 전개한 다양한 교육분야 활동들이 집약된 선언이며 활동이다.

  (1950년대 성인문해교육운동, 1960년대 초등교육 보편화 사업, 1970년대 평생교육사업, 좀티엔 회의 등)

 

- 2000년, 세네갈 다카르 세계 교육포럼 - '다카르 실행계획' EFA 6대 목표를 제시했다.

( 1. 영유아 보육, 교육 확대와 개선

  2. 2015년까지 세계 모든 아동에게 보편적 초등교육 제공

  3. 모든 청소년과 성인의 학습, 교육욕구 충족

  4. 2015년까지 성인문해율 50% 개선, 모든 성인 대상 기초교육과 평생교육의 공평한 기회 보장

  5. 2005년까지 초. 중등학교에서 성별격차 해소 및 2015년까지 초등교육기관 등록생의 양성평등 실현

  6. 교육의 질적 수준 향상.  )

 

(2) 글로벌 교육 우선 구상(Global Education first Initiative, GEFI)

- 2012년 9월, 제67차 UN총회를 계기로 반기문 사무총장이 제시한 GEFI

              < 3대 목표 >

Put every child in school (모든 아동에게 보편적 교육 제공)

Improve the quality of learning (교육의 질 개선)

Forster global citizenship (글로벌 시민의식 함양)

- 글로벌 시민의식을 함양하기 위해 실시하는 글로벌 시민교육(Global Citizenship Education, GCED)

   핵심역량 3 가지, 관점과 영역으로 4가지를 제시하고 있다.

 

(3) 2015년 제3회 세계 교육포럼과 포스트 EFA

- 인천, 2015 세계 교육포럼(World Education Forum.WEF)

- UNESCO 회원국 대표들과 전문가들은 폐회식에서 인천선언(Incheon Declaration) 채택

('교육 2030 : 모두를 위한 포용적, 평등한 교육과 평생 학습을 향하여')

주요 내용 :   교육 접근성, 형평성과 포용, 양성평등, 양질의 교육, 평생학습기회

특히, 정부차원에서 최소한 GDP의 4~6%를 교육재정으로 확보하고, 공공지출의 15~20%를 투입하는 재원 배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.

가장 주목할 부분은 1.EFA를 계승,  2. 전 세계 모든 국가가 9년의 초중등교육을 보장,

3. 청년과 성인기 등 전 생애에 걸친 평생학습(lifelong learning) 기회를 강조한다는 점이다.

 

(4) 새천년 개발목표와 지속가능 개발목표

 

-  MDGs에서 교육 관련 내용은 목표 2(보편적 초등교육 제공), 목표 3(양성평등 촉진 및 여성권익 향상)

   세부목표 6,7,8(목표 2) / 9,10(목표 3)

- SDGs

  * 형식적 교육과 관련된 목표 4(모두를 위한 포용적이고 공편 한 양질의 교육 보장 및 평생학습 기회 증진)

       세부목표(4.1 ~ 4.7 / 4.a ~ 4.b)

  *비형식적 교육과 관련된 목표 8(포괄적이며 지속 가능한 경제성장과 완전하고 생산적인 고용, 모두를 위한 양질의 일자리 제공)

        세부목표(8.5~8.6)

 


내용이 많아서 상, 하로 나누었습니다.

 

2020/10/30 - [Study/ODA 자격증] - 국제개발협력 심화 - 제1장 교육 (하)

 

국제개발협력 심화 - 제 1장 교육 (하)

ODA 자격증 대비 공부를 위한 개인적인 정리내용 입니다. 댓글에 이메일 남겨주시면 공유해드릴게요. ( 쉽게 다른용도로 도용하시는 분들을 막기 위해서요 ) 4. 교육분야 발전을 위한 지원현황과

vastpotential.tistory.com

 

반응형